chuwol(秋月)eun manjeong(滿庭)heoyeo
sanhojuryeom(珊瑚珠簾) bichwodeul je,
cheongcheon(靑天)ui oegireogineun wolha(月下)e nopi tteoseo
ttururururu kkilluk, ureumeul ulgogani,
simhwanghu(沈皇后) banggi deutgo, gireogi bulleo mareul handa
oneunya, jeo gireoga,
sojungnang(蘇仲郞) bukhaesang(北海上)e
pyeonji jeon(傳)teon gireoginya?
dohwadong(桃花洞)eul gageodeullang bulssangheon uri buchin
jeon(前)e pyeonji(便紙) iljang(一張) jeonhayeora
pyeonjireul sseuryaheol je han ja sseugo nummul jitgo,
du ja sseugo hansum swini
nummuri meonjeo tteoreojyeoseo geuljaga sumuk(水墨)i doeni
eoneo(言語)ga dochak(倒錯)iroguna
pyeonji jeobeo sone deulgo muneul yeolgo naseoboni
gireogeun ganggoseopgo changmang(蒼茫)han gureum bakke
byeolgwa dalman tturyeossi balgatguna
추월(秋月)은 만정(滿庭)허여
산호주렴(珊瑚珠簾) 비춰들 제,
청천(靑天)의 외기러기는 월하(月下)에 높이 떠서
뚜루루루루 낄룩, 울음을 울고가니,
심황후(沈皇后) 반기 듣고, 기러기 불러 말을 한다
오느냐, 저 기럭아,
소중랑(蘇仲郞) 북해상(北海上)에
편지 전(傳)턴 기러기냐?
도화동(桃花洞)을 가거들랑 불쌍헌 우리 부친
전(前)에 편지(便紙) 일장(一張) 전하여라
편지를 쓰랴헐 제 한 자 쓰고 눈물 짓고,
두 자 쓰고 한숨 쉬니
눈물이 먼저 떨어져서 글자가 수묵(水墨)이 되니
언어(言語)가 도착(倒錯)이로구나
편지 접어 손에 들고 문을 열고 나서보니
기럭은 간곳없고 창망(蒼茫)한 구름 밖에
별과 달만 뚜렸이 밝았구나